대부분의 대체투자 금융 직무는 매번 새로운 금융 상품을 만드는 발행시장 영역의 업무를 수행하게 됩니다. 실물자산을 금융상품으로 만드는 일을 하기 때문에 실물자산 뿐 아니라 금융상품, 금융시장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요구됩니다.
금융시장은 거래 단계에 따라 ‘발행시장’과 ‘유통시장’으로 구분
<aside> <img src="/icons/checkmark-square_blue.svg" alt="/icons/checkmark-square_blue.svg" width="40px" />
발행시장 (primary market)
유통시장 (secondary market)
주식, 채권과 같은 전통 자산은 ‘발행시장’부터 ‘유통시장’까지 모든 범위에서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습니다.
참고자료: 한국의 금융시장 (한국은행 발행)
한국의 금융시장(2021.12 개정판) | 한국의 금융시장(상세) | 단행본 | 간행물 | 조사 · 연구 | 한국은행 홈페이지
TIP!
최근 대체투자 자산이 부상하며 증권사 IB 부서가 기업금융 IB, 대체투자 IB로 구분되었고, 이에 따라 채용도 구분하여 진행하는 등 대체투자 분야의 발행시장은 지속 성장 중입니다.
대체투자 금융 업무에서는 대체투자 자산을 직접 취득하는 자기자본(주식) 영역부터 채권∙대출과 같은 타인자본 영역까지 다양한 금융상품을 발행
금융상품 | 전통자산의 사용 목적 | 대체투자자산의 사용 목적 | |
---|---|---|---|
자기자본 | - IPO (신주발행 및 상장) |
전통자산(주식, 채권)은 증권사 IB부서만 발행 업무를 수행하지만, 대체투자는 증권사 외에 은행, 자산운용사에서도 발행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