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이 집중하는 ESG 관련 이슈는 주로 우리가 사회문제라고 일컫는 것들과 연결되어 있다. 그러다보니 임팩트 스타트업과의 협력 구조 설계가 매우 유의미한 상황이다. 그러나 좋은 파트너로서 임팩트 스타트업을 찾고, 그들과 협력 구조를 만들어나가는 데에 회의적이거나 어려움을 겪는 담당자들이 있다. Part 3은 성공적인 오픈 이노베이션 사업의 공통적인 판단 요소와 매커니즘을 소개해 더욱 많은 오픈 이노베이션이 생겨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고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명확한 사례를 통한 분석 및 인사이트 도출이 가장 유효할 것이라 생각했고, 그 결과 두 가지의 사례와 네 개의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었다.

©Shutterstock

[사례 1] SK아이이테크놀로지 X 라잇루트, 폐분리막을 활용한 고기능성 의류 소재 개발

전기차 산업 성장으로 인해 폐분리막이 급증하고 있다. 미세한 스크래치로 인해 상품성이 떨어지거나, 산업 특성 상 과잉 생산 후 발생하는 폐분리막은 그 양이 상당하고 적절한 처리 방안이 없어 버려지고 있었다. 라잇루트는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폐분리막을 활용한 고기능성 의류 소재 ‘텍스닉(TEXNIC)’을 개발했다. 그 과정에서 SK이노베이션 리튬이온 배터리 분리막 자회사인 SK아이이테크놀로지(이하 SKIET)와의 협력이 있었는데 해당 내용을 첫 사례로 소개하고자 한다.

각 주체의 세부 니즈는 아래와 같았다.

SKIET는 폐분리막을 환경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던 중 SK이노베이션 공모전에 선정된 라잇루트를 알게 되었다. 그 당시 라잇루트는 제품 개발을 준비하는 단계에 있었는데 필요한 폐분리막 샘플을 SKIET로부터 지원받을 수 있게 되었고, 샘플을 공급받는 과정에서 폐기물 수거, 선별 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SKIET에서 규격에 맞게 공급해주어 해당 과정을 생략할 수 있었다. 이러한 맞춤형 지원 덕분에 라잇루트는 6개월도 채 되지 않는 시간 내에 제품 개발에 성공할 수 있었다.

이 사례가 성공적일 수 있었던 데에는 다양한 요인들이 있었겠지만 그 중에서도 상호 명확한 니즈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신속하고 적극적인 협력이 가능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미루어보아 오픈 이노베이션은 구체적이고 명확한 니즈에 기반한 공동의 목표가 있을 때 빠른 실행과 성과 도출을 가능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사례는 내부 자원을 외부로 공유해 혁신을 만드는 아웃 바운드 혁신 사례로 볼 수 있다. 아웃 바운드 혁신으로는 주로 기술 판매와 라이센싱을 고려하는데, 산업 폐기물의 환경적인 처리 필요성이 대두되는만큼 자원화 가능한 폐기물이 있다면 이를 활용할 스타트업을 발굴해 연계하는 방식을 고려해볼 수 있다.

한편, 라잇루트는 텍스닉(TEXNIC)을 CES에 출품해 ‘웨어러블 기술(Wearable Technology)’ 분야에서 CES 2022 혁신상을 수상했다. 현재는 빈폴, 제로그램 등 국내외 다양한 브랜드와 협력해 다양한 제품에 소재를 적용하고 있으며, 올해 양산에 돌입해 내년부터 다양한 브랜드를 통해 텍스닉을 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례 2] 효성화학 X 잇그린, 잠실구장 다회용기 적용 및 회수 시범사업

두 번째 사례로는 잠실구장에서 진행되어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켰던 다회용기 시범사업을 소개하고자 한다. 효성화학은 환경 이슈 대응을 위한 신규 사업 발굴 단계에서 단일 재질의 폐플라스틱을 소싱해 고품질 재생원료를 생산하는 여러 사업 아이디어를 검토했다. 그 중 가장 높은 순위로 검토된 다회용기 재생 사업의 사업화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시범사업을 추진하게 되었고, 배달음식 다회용기 서비스를 운영하는 임팩트 스타트업 잇그린을 파트너로 초청했다.

각 주체의 세부 니즈는 아래와 같았다.

위와 같은 니즈를 상호 충족시키며 시작된 잠실구장 다회용기 시범사업은 아래와 같은 프로세스로 진행되었다.

  1. 다회용기 개발 및 생산 : 효성화학 PP원료를 활용한 다회용기 개발 및 생산
  2. 잠실구장 다회용기 서비스 운영 : 잠실구장 내 식음료 매장에 다회용기 공급, 서비스 운영
  3. 다회용기 수거 및 재생 : 시범사업동안 사용된 다회용기 수거 및 재생원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