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크리스마스, 서울의 한 아파트에서 2명이 숨지고 30명이 다친 화재 사고가 발생했어요. 일주일 뒤에도 경기도의 한 아파트에서도 불이 나 1명이 사망하고 13명이 부상을 당했는데요. 희망찬 기운이 감돌아야 할 연말연시에 안타까운 주택 화재가 끊이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또 화재 발생 시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까요? 오늘 어킵에서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aside> 🔎 **오늘의 a;keep 미리보기

  1. 아파트 화재, 얼마나 발생했을까?
  2. 아파트 화재에 침착하게 대응하는 법
  3. 아파트 소화시설, 어떻게 다를까?**

</aside>


부쩍 늘어난 공동주택 화재

🏙 대한민국 인구 절반이 사는 아파트, 화재에 안전할까?

0123_뉴스레터_1.jpg

최근 5년간의 공동주택 화재 중 아파트에서 일어난 화재만 약 14,116건으로 과반 이상을 차지해요. 아파트는 구조적 특성 때문에 화재 발생 시 불길이 커질 위험이 커요. 또한 계단이나 복도, 승강로 등을 통해 연기가 빠르게 퍼지면서 대피가 어려워지죠.

소방청 통계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20~2022) 발생한 아파트 화재에서 1,075명(사망 111명·부상 964명)이 인명피해를 입었는데, 사상자의 40.3%가 대피 중에 화를 입었다고 해요. 그만큼 당황한 마음에 무작정 대피하는 경우가 많았다는 건데요. 아파트에서 불이 났을 때 대처법을 알려드릴 테니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하도록 해요!

아파트에서 불이 났다면,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 집 안으로 연기가 들어오지 않았다면 대기해요

아파트는 화재 발생 장소와 불길·연기 확산여부에 따라 ‘대피’보다 ‘대기’가 안전할 수 있어요. 실제로 작년 3월, 한 아파트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불이 다른 층으로 퍼지지 않아 집에서 대기했던 것이 안전했다고 해요. 집 안으로 연기가 들어오지 않았다면 무작정 밖으로 나가지 말고 상황을 주시하며 기다려 주세요.

🚪 아파트 현관 밖으로 대피할 수 있는지 판단해요

하지만 집 안으로 연기가 들어왔다면 현관 밖으로 나가야 하는데요. 문을 열기 전에는 문고리나 문을 만져봐서 뜨겁지 않은지 확인해, 밖으로 나갈 수 있는지 체크해 주세요.

👉 대피 가능한 경우

1층 건물 밖 지상, 옥상, 피난안전구역 중 우리집에서 가장 가까운 곳으로 이동해 주세요. 이때 젖은 수건으로 코, 입을 막고 자세를 낮춰서 움직여야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