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조직론 = 가격의 생산량에 관한 기업들이 의사결정이 그 기업들이 직면한 시장 여건에 따라 어떤 영향을 받는지 연구하는것
총수입 = 기업이 제품을 판매하고 받은 금액 ( P 가격 x Q 산출량 )
총비용 = 기업이 생산과정에 투입한 모든 요소의 시장가치 ( 기회비용 , 즉 명시적 비용 + 암묵적 비용 )
이윤 = 총수입 -총비용
<기회비용>
명시적 비용 = 현금 지출이 필요한 요소비용 (재료비,인건비)
e.g. 캐롤라인이 밀가루를 1000달러주고샀다면, 이돈주고 다른물건을 살 수 없으므로 기회비용은 1000달러
e.g. 근로자들에게 지급되는 임금도 기업의 기회비용이다!
암묵적 비용 = 현금 지출이 필요하지 않은 요소비용 (포기한 소득 + 사업에 투입된 금융자본의 기회비용 +)
e.g. 캐롤라인이 컴퓨터 프로그래머 일을 하면서 1시간에 100달러를 벌수있다. 공장에서 1시간 일하면 기회비용은 100달러이다 (프로그래머로 벌수있는 수입을 포기하는셈)
→ 포기한 소득도 비용에 포함된다!!!!!!!!!
e.g. 캐롤라인이 30만달러를 주고 공장을 인수함. 그돈으로 연리 5% 저축 예금을 들었다면 1만5000달러를 벌었을것. 이자소득 1만5000달러는 과자공장 사업의 기회비용에 포함되어야함 (회계사는 이 이자소득 1만 5000달러를 비용이라고 보지않음)
경제학자 vs 회계사
**중요! 경제학자는 포기한 소득도 비용에 포함시킨다. e.g. 프로그래머임금이 100→500이 되면 공장을 접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