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10월쯤부터 출판계에 익명의 설문지가 회자되고 있습니다. ‘출판계 연봉 공개(익명의 설문지)’라는 제목의 설문지입니다. 2020년 7월 현재, 약 500여 명이 설문에 응했습니다.
설문자는 익명의 편집자입니다. “노동자 간 연봉과 실수령액 정보가 원활히 공유되지 않는” 현 상황에 문제를 제기합니다. 호기심에 설문을 시작했지만, 다른 출판인들에게도 도움이 되길 원한다고 덧붙입니다. 그런 만큼, 설문자는 설문지와 설문 결과를 모두 공개하고 있습니다(https://blog.naver.com/sung870918/221688601058, 2020년 7월 접속).
질문 항목은 업무 영역, 연차, 성별, 세전 연봉, 매월 실수령액, 퇴직금의 연봉 포함 여부, 연봉 외 추가 수령액입니다. 또 코멘트를 남길 수 있는 자리도 마련해 두었습니다.
설문지에서 설문자가 지적한 것처럼, 설문 결과를 참고할 때 염두에 두어야 할 점들이 있습니다.
첫째, 응답자가 자기 연봉 혹은 실수령액을 정확히 모를 수 있습니다. 직원과 제대로 연봉협상을 하지 않거나 계약서를 정상적으로 남기지 않는 출판사가 많은 현실을 반영합니다. 그 탓에 응답한 연봉 및 월별 실수령액이 일부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둘째, 인터넷 공개설문이므로 사보타주에 취약합니다. 혹은 실수로 설문을 중복해 제출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설문 결과를 분석할 때에 이러한 요소가 왜곡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셋째, 설문 응답자가 출판노동자 전체를 충분히 대표하기 어렵습니다. 통계적 표본추출법을 사용한 것이 아니라 인터넷을 통한 자발적 참여로 모은 데이터이므로 표본이 편중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 자료에 엄밀한 통계분석을 적용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이러한 사항을 고려하더라도 이 설문지의 등장은 충분히 의미 깊습니다. 노동자는 스스로 받는 노동의 대가가 출판계 전체에 비추어 어느 정도인지 알아야 정당한 대우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나아가 출판계 전체가 어떤 수준인지 알아야 함께 고민을 모으고 힘을 뭉칠 연대감도 쌓을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접근하기 쉬운 출판계 연봉 자료는 찾아보기 힘듭니다. 그렇기에 이 설문과 설문 결과는 공유할 가치가 충분합니다.
여기서는 연봉을 연차, 성, 업무에 따라 정리해 보았습니다. 월별 실수령액은 미응답자가 많아 활용하지 않았습니다.
이 간단한 분석이 출판노동을 둘러싼 담론에 기여하고, 나아가 체계적 연구를 위한 계기를 마련하길 기대합니다.
사적 수익을 위해 설문 결과 및 분석을 임의로 사용할 수 없음을 미리 말씀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