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nomy = ‘ 집안 살림하는 사람 ‘
희소성 = 사람들이 가지고 싶은 만큼 다 가질 수 없다는 사실 / 한 사회가 가지고 있는 자원의 유한성 경제학 = 사회가 희소자원을 어떻게 관리하는지를 연구하는 학문 / 즉 얼마나 일하고 무엇을 구입하며, 얼마나 저축하고, 그 저축을 어케 투자하는지 등 같은 사람드르이 의사 결정과정을 연구하는 학문 경제 = 살아가면서 상호작용하는 사람들의 집단 효율성 = 가지고 있는 희소자원에서 한 사회가 최대의 효과를얻고자 하는속성 (=제한된 희소자원으로 최대의효과를얻는것)= 파이의크기 형평성 = 경제발전의혜택이사회 구성원에게 균등하게 분배되는속성 =파이를나누는방법 기회비용 = 어떤 선택을위해 포기한 모든것 (시간 + 돈 ) 합리적인사람= 자신에게 주어진 기회를 계획적이고 체계적으로 활용해서 자신들의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최선을다하는 사람들 E.g. 굶을까 배터지게 먹을까 (x) / 반찬을 더먹을까 말까 (o) /시험을 포기할까24시간 공부할까 (x)/ 1시간 더 공부할까쉴까 (o) 한계적 변화 = 현재의 행동에 대한계획을 조금씩 바꿔서 조정하는것. 사람들이 하는일의 맨 끝부분에서 일어나는 변화 / 한계편익 > 한계비용보다 클떄만 대안을 선택할것
****<사람들은 어떻게 결정을 내리는가> 1.1a 기본원리1 : 모든 선택에는 대가가 있다 (= 기회비용이 발생한다) =우리가 무엇을 얻고자하면,그 대가로 무엇인가포기해야한다는것. E.g.. 대포와 버터의선택 E.g. 사회복지제도, 실업보험제도,개인소득세 제도=> 형평성 상승/효율성 하락 => 파이를를 공평하게 나누고자 하면 파이는더 작아진다.
cE.g.대학에 다니기로 결정할때 기회비용은? => 대학에 다닌다는사실 자체만으로 초래되는 비용은 기회비용이 아님 (식비, 하숙비)/ 가장큰 기회비용은 시간! (학교에 다니는동안 돈을 벌수있는 잠재적 임금소득이가장큰 기회비용),미식축구선수는 대학진학시 기회비용이 매우커서 프로진학
한계편익 = 그 재화 한단위가 주는 추가적인 이득 한계비용 = 기회비용 경제적 유인 = 처벌 가능성이나 보상같은 사람이 행동하도록 만드는 것 (합리적인 사람은 어떤 행동을 하고자할때 이득과 비용을 계산해서 의사결정을 하기 떄문에 경제적 유인에 바응한다)
1.1c 기본원리3 : 합리적 판단은 한계적으로 이루어진다. E.g. 휴대전화 통화를 한없이하고, 항공사가 평균비용보다 낮은 가격에 표를 팔고, 물보다 다이아를 더 많은 금액을 주고 구입하려는가 ( 한계편익>판계비용)
1.1d 기본원리4 : 사람들은 경제적 유인에 반응한다. E.g. 높은 가격 -> 소비자들이 소비를 줄일 유인을 제공/공급자들은 생산을 늘리도록 하는 유인을 제공함 높아진 휘발유세 -> 카풀,대중교통 증가,전기자동차 선택 부작용!!!!!!!! : 자동차 안전띠 -> 덜 조심해서 운전함 -> 교통사고의 증가 -> 보행자들이 자동차 사고를 당할 확률이 높아짐. (사망률은 감소했으나 사고건수가 증가함/ 운전자사망률은 거의 변화가 없고 보행자 사망률이 높아짐.===>> 정책이 사람들의 유인ㄱㅜ조를 변화시킨다면 사람들의 행동도 변화함
..............................................................................................................................................................
계획경제 = 정부만이 국가 전체의 경제적 후생을 가장 잘 증진시킬 수 있다는 논리에 근거를 두고있다. 시장경제 = 경제계획 담당자가 결정할 사항을 무수히 많은 기업들과 가계들이 대신 결정함. / 수많은 기업과 가계가 시장에서 상호작용하면서 분산된 의사결정에 의해 자원배분이 이루어지는 경제 체제
<사람들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 1.2a 기본원리5 : 자유거래는 모든 사람을 이롭게 한다. E.g. 두 국가간의 무역은 양국을 모두 이롭게한다.
1.2b 기본원리6 : 일반적으로 시장이 경제활동을 조직하는 좋은 수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