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민아 ⇒ 브라우저의 동작 방식은 요청, 응답, 렌더링 및 표시 이렇게 3단계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입력한 주소로 브라우저는 서버에 HTTP 요청을 보내고, 서버는 해당 요청을 받아 필요한 정보를 찾아 다시 브라우저에 응답을 보냅니다. 브라우저는 받은 응답을 해석해 DOM을 생성하고, 페이지를 렌더링하여 화면에 표시하게 되면 사용자가 그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김한신
브라우저는 사용자가 요청한 웹 페이지를 서버로부터 받아와 HTML, CSS, JavaScript 등을 해석하여 렌더링합니다. DOM과 CSS를 활용해 화면을 생성하고, 리소스를 다운로드하며 성능을 최적화합니다. 이 과정은 개발자가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때 고려해야 하는 핵심 원리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박준영
⇒ 주소창에 url을 입력하고 Enter를 누르면, 서버에 요청이 전송됩니다. 해당 페이지에 존재하는 여러 자원들(text, image 등등)이 보내집니다. 브라우저는 해당 자원이 담긴 html과 스타일이 담긴 css를 W3C 명세에 따라 해석 합니다. 이 역할을 하는 것이 '렌더링 엔진' 입니다. 렌더링 엔진은 우선 html 파싱 과정을 시작하고, html 파서가 문서에 존재하는 어휘와 구문을 분석하면서 DOM 트리를 구축합니다. 다음엔 css 파싱 과정을 시작하고, css 파서가 모든 css 정보를 스타일 구조체로 생성됩니다. 이 2가지를 연결시켜 렌더 트리를 만들고, 렌더 트리를 통해 문서가 시각적 요소를 포함한 형태로 구성된 상태에서, 화면에 배치를 시작하고 UI 백엔드가 노드를 돌며 형상을 그립니다. 이때 빠른 브라우저 화면 표시를 위해 '배치와 그리는 과정'은 페이지 정보를 모두 받고 한꺼번에 진행되지 않습니다. 자원을 전송받으면, 기다리는 동시에 일부분 먼저 진행하고 화면에 표시합니다.
DOM이란?
김민선
⇒ 브라우저의 작동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