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8장 제어문
<aside> 💡 if … else 문은 논리적 참, 거짓으로 실행할 코드 블록을 결정한다. switch 문은 논리적 참, 거짓보다는 다양한 상황(case)에 따라 실행할 코드 블록을 결정할 때 사용한다. (p.97)
</aside>
<aside> 💡 break 문이 없다면 case 문의 표현식과 일치하지 않더라도 실행 흐름이 다음 case문으로 연이어 이동한다. (p.98)
</aside>
<aside> 💡 자바스크립트는 배열을 순회할 때 사용하는 forEach 메서드, 객체의 프로퍼티를 열거할 때 사용하는 for … in 문, ES6에서 도입된 이터러블을 순회할 수 있는 for .. of 문과 같이 반복문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p.100)
</aside>
<aside> 💡 for 문은 반복 횟수가 명확할 때 주로 사용하고 while 문은 반복 횟수가 불명확할 때 주로 사용한다. (p.103)
</aside>
35장 스프레드 문법
<aside> 💡 ES6에서 도입된 스프레드 문법(전개 문법) …은 하나로 뭉쳐 있는 여러 값들의 집합을 펼쳐서(전개, 분산하여, spread) 개별적인 값들의 목록으로 만든다. (p.627)
</aside>
<aside> 💡 …[1, 2, 3]은 이터러블인 배열을 펼쳐서 요소들을 개별적인 값들의 목록 1 2 3으로 만든다. 이 때 1 2 3은 값이 아니라 값들의 목록이다. 즉, 스프레드 문법의 결과는 값이 아니다. 이는 스프레드 문법 … 이 피연산자를 연산하여 값을 생성하는 연산자가 아님을 의미한다. 따라서 스프레드 문법의 결과는 변수에 할당할 수 없다. (p.627)
</aside>
36장 디스트럭처링 할당
<aside> 💡 ES6의 배열 디스트럭처링 할당은 배열의 각 요소를 배열로부터 추출하여 1개 이상의 변수에 할당한다. 이때 배열 디스트럭처링 할당의 대상(할당문의 우변)은 이터러블이어야 하며, 할당 기준은 배열의 인덱스다. 즉, 순서대로 할당된다. (p.636)
</aside>
<aside> 💡 이때 변수의 개수와 이터러블의 요소 개수가 반드시 일치할 필요는 없다. (p.637)
</aside>